Home / 핫뉴스
미용업계는 찬밥신세?
고용 한몫에도 지원금 등 크게 부족
- 전승훈 (press3@koreatimes.net) --
- 26 Jan 2021 04:22 PM
권리옹호 단체 만들고 조직적 활동해야
코로나 사태에 따른 경제위기가 관광, 외식업계 뿐만 아니라 미용 업계에도 심각한 타격을 준다.
최근 캐나다 독립사업자연맹의 발표에 따르면 소기업 업주 6명 중 1명이 폐업을 심각하게 고려 중이다.
이같은 비율은 한인사회 업계에도 고스란히 반영되고 있으며 특히 영업중단과 재개를 반복하면서 받은 미용업계의 타격은 아주 심각하다.
미용업계는 지난해 3월 주정부의 1차 경제봉쇄정책으로 약 3개월간 '강제휴식'을 하다가 6월 중순께 부터 코로나규정을 지키면서 영업을 재개했다.
그러나 3개월간 미용서비스를 받지 못한 많은 고객의 예약전화에도 불구하고 규정상 고객수를 제한하다 보니 매출은 예전에 비할 바가 못되었다. 이에 덧붙여 직원 마스크와 장갑 구입비, 소독기 및 가림막 설치비용은 업주들의 주머니 사정을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
그러나 힘겹게 버텨오던 것도 잠시 제2차 대유행이 시작되며 영업재개 6개월도 안돼 제2차 봉쇄에 들어갔다.
배달영업과 픽업서비스로 간신히 연명하는 외식업계나 소매업계와는 달리 미용업계는 완벽하게 강제폐업됐다.
이같은 현실은 본보 업소록에도 잘 드러난다.
2021년 본보 업소록에 등재된 미용실은 총 76개로 2020년의 73곳과 비교하면 거의 답보 수준이다. 먹는 것 만큼 중요한 미용업계는 식당만큼은 아니더라도 많은 인원을 고용하는 업종이어서 실업자 양산은 사회적 경제적 문제가 된다.
지난 6월 영업재개 전부터 100건 이상의 예약을 받아 즐거웠던 '온 헤어'도 12월 또 다시 문을 닫았다.
양미진 사장은 "현재 정부로부터 임대료 40%와 전기세 등을 지원받아 버티지만 나머지 렌트비 등 고정지출이 한 둘이 아니다"며 "이런 상황이 지속되면 업소의 생존을 기대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오샤와에서 문아트헤어살롱을 운영하는 윤문주씨는 "미용실 수입이 끊어져 생활이 어려운 상황이다. 그러나 가장 큰 손실은 확보한 단골손님들을 잃는 것"이라며 "강제조치가 더 이어진다면 실제 폐업하는 업체들이 상당할 것"이라고 토로했다.
그는 강제로 문을 닫게 했으니 손실을 보상할 수 있는 정부의 금전적인 지원이 급선무라며 주정부 무상지원은 그동안의 손실액 상쇄에는 역부족이라고 지적했다.
불법영업을 하는 일부 업소들을 꼬집은 업주도 있다.
피부 미용업체 뷰티플로우의 섬머 리 원장은 "일부 업주들이 가정방문을 하면서 음성적 영업을 하는데 이는 상황을 더욱 악화시키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미용업계에는 자신들의 권익옹호를 위한 단체가 없다. 물론 종업원 단체도 없다.
한편 온주정부는 긴급사태와 이에 따른 자택대기령을 2월9일까지 공식연장했다.
26일 1,740명의 신규 확진자가 나오면서 확산세는 한풀 꺾이는 상황이지만 각 지자체 보건당국 등은 경제봉쇄를 완화하기에는 아직 상황을 더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