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주간한국
프라이빗 키 개인소유 여부에 따라 구분
탈중앙화 금융(De-Fi)의 효율성 & 중앙화 금융(Ce-Fi)
- 미디어1 (media@koreatimes.net)
- Jun 30 2022 11:12 AM
탈중앙화 금융(De-Fi)의 효율성
1) 금융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 향상
대부분의 De-Fi는 인터넷과 스마트폰만 있다면 누구나 접근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De-Fi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최소한의 신원 확인이 필요하지만, 신용평가 등의 부수적인 절차는 생략된다.
2) 저렴한 국제 송금
De-Fi는 국제 송금에 과정에 있어서 은행 등 중개업자를 스마트 컨트랙트로 대체하므로 기존보다 저렴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현 제도에서 국제 송금은 평균 7%의 송금 수수료가 발생하지만, De-Fi 송금 서비스 수수료는 약 3% 미만으로 발생될 것으로 전망한다. 이를 통해 범국가적인 금융 네트워크가 형성돼 국제 송금 외 확장성을 제공한다.
3) 개인정보 보호 및 보안 개선
De-Fi를 이용하는 고객은 자산을 소유하면서 중앙 주체의 검열 과정 없이 안전하게 보관 및 거래할 수 있다. 개인정보는 블록에 분산 보관되며 데이터 생성에 대한 인센티브를 받을 가능성이 커 개인정보 소유권을 보장받는다.
4) 금융정보 검열에 대한 저항성
De-Fi에서 생성되는 거래 기록은 불변하며 정부, 중앙은행, 대형 기업과 같은 특정 중앙 기관이 고객 자산에 개입해 검열 및 조작하는 행위에서 벗어나 완전한 자산 소유권을 보장한다.
5) 지속 운영 금융 시스템
어느 한 주체의 시스템 불량으로 전체 시스템이 작동하지 않는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다. De-Fi는 여러 노드를 통해 네트워크가 운영되기 때문에 하나의 주체의 불량으로 네트워크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다. 어떠한 시스템 장애나 재난으로부터 견고하며 모든 노드가 손상되지 않는 한 멈추지 않는다.
디파이 플랫폼 탈중앙화 수준 기준 분류표
블록체인상 중앙화 금융(Ce-Fi) 이란?
1) 시파이(Ce-Fi)는 디파이(De-Fi)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특정 관리 주체가 존재하여 해당 관리 주체로 중앙화된 금융 시스템을 의미한다. 대부분의 현행 은행 및 보험사 등 금융서비스들이 이에 해당하지만, 블록체인 상에서의 Ce-Fi란 블록체인에 접속이 허락되는 프라이빗 키(Private Key)를 유저 개인이 소유하고 있는가에 대한 여부를 Ce-Fi의 기준으로 삼고 있다.
2) 시파이(Ce-Fi) 환경에서는 유동성 공급, 예치 이율, 개발 및 운영 등 중앙화된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높은 수준의 고객 관리 기반 플랫폼 등 여러 편의적인 장점을 갖고 있으며 그로 인한 운영비용의 증가로 디파이 환경보다 높은 이자율과 수수료를 부과한다.
3) 블록체인 Ce-Fi 업체는 코인베이스, 바이낸스 등 암호화폐 거래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암호화폐 예치 및 대출 업무를 운용하는 블록파이(BlockFi), 셀시우스(Celsius), 델리오 (Delio) 등의 블록체인 기반 중앙화 금융 업체들이 있다.
4) 그에 반하여 디파이(De-Fi) 프로젝트 혹은 플랫폼의 우선순위는 탈중앙화의 정도에 있다. 실제로 각종 대출, 스테이킹, 파생상품 시장등의 탈중앙화 디파이 플랫폼들의 경우, 공통적으로 유저 개개인이 본인의 프라이빗키를 관리하는 특징이 있다.
5) 즉, 암호화폐 자산에 대한 투자 운용 및 접근 관리의 주체는 바로 개인 유저 본인만이 가능하다는 것을 말한다. 비밀번호에 해당되는 Private Key 를 분실하면 아무도 복구해 줄 수 없다.
www.koreatimes.net/주간한국
미디어1 (media@koreatime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