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오피니언
성공과 행복의 역설
권오율, 그리피스대학교 명예교수, SFU 경영대 겸임교수
- 미디어2 (web@koreatimes.net)
- Nov 21 2022 04:49 PM
고대 희랍의 철학자에서부터 최근의 달라이 라마에 이르기까지 많은 선각자가 인간의 궁극적 목적은 행복이라 주장하였다. 따라서 우리는 어떤 형태든 힘껏 노력하여 성공만 하면 행복해질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최근 심리학 및 경제학의 과학적인 실증분석에 의하면 성공한다고 행복해지는 것이 아니고, 행복한 사람이 여러 면에서 성공한다고 주장한다. 즉 성공하기 위하여 먼저 행복해야 한다는 뜻이다. 이것은 “성공과 행복의 역설”이라 할 수 있다. 왜 이런 역설이 생길까?
성공은 고소득, 명예, 권력 등을 달성했을 때를 의미한다. 소득이 증가하면 일시적으로 행복수준은 증가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행복수준은 제자리로 돌아오고 증가하지 않는다. 이것은 남의 소득과 비교하거나, 증가한 소득에 적응해버리거나, 또는 보다 높은 소득을 바라는 우리의 욕구 때문이다. 이런 소득과 행복의 관계를 처음으로 실증분석한 경제학자인 이스터린은 “소득과 행복의 역설”이라고 명명하였다. 같은 이유로 소득, 권력, 명예 등 여러 형태의 성공에도 사회적 비교, 적응, 새 욕구 때문에 행복수준이 변하지 않으면서 “성공과 행복의 역설”’을 이룬다.
우리는 소득이나 주어진 환경이 비슷해도 어떤 사람은 행복하고 어떤 사람은 그렇지 못하다는 것을 쉬이 볼 수 있다. 또 소득이 비슷한 여러 나라의 행복수준도 많이 다르다. 이것은 성공이 행복으로 연결되지 않는다는 주장을 뒷받침하고, 행복은 성공과 다른 요인에 의해서 결정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행복의 요소는 무엇일까? 행복은 다분히 마음의 상태나 주관적인 만족감을 의미하기 때문에 심리학의 연구 분야이다. 심리학에서 행복의 요소를 탐구하여 개인의 행복수준 향상을 시도하는 학문이 긍정심리학이다. 긍정심리학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우리 행복수준의 50%는 유전적으로 결정되고, 소득, 직장, 권력 등을 포함한 환경 요인이 10%를 경정하고, 나머지 40%는 우리의 의도적인 행동에 의해 결정된다고 한다. 즉 우리의 행동을 통하여 우리 행복수준의 40%를 조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어떤 의도적인 행동이 우리를 행복하게 할까? 긍정심리학은 행복의 중요한 요소로 재미, 좋은 대인관계, 의미(목적) 또는 의미 있는 행동이라고 주장한다. 재미는 곧 우리의 만족감을 나타내므로 재미와 행복의 관계는 설명할 필요 없이 명확하다. 좋은 대인관계가 우리를 행복하게 한다는 연구결과는 허다하다. 특히 1938년에 하버드대학생과 같은 연령의 보스턴시 빈곤층 젊은 청년 모두 724명을 선정하여 지금까지 그들의 삶의 여러 측면을 분석하고 있다. 이 포괄적이고 장기간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좋은 인간관계가 우리를 행복하고 건강(육체적, 정신적)하게 하고 직장, 소득 등에서도 우월하게 하다.
의미는 목적의식을 뜻하고, 의미 있는 행동은 바람직한 목적을 갖고 그것을 달성하기 위하여 몰입하여 노력하는 그 과정을 뜻한다. 따라서 우리의 의도적인 행동이 재미가 있고, 좋은 대인관계를 만들고, 선택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면 우리의 행복수준은 증가한다. 행복을 위한 행동을 습관적으로 자주 함으로써 우리는 행복한 성격을 갖게 되고 지속해서 높은 행복수준을 유지하게 된다.
문헌에 행복 증진을 위한 많은 제안이 있다. 행복은 주관적이고 사람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행복 행동도 사람에 따라 다르지만, 대개 재미, 좋은 대인관계, 목적달성을 위한 행동과 연결된다. 새로운 것을 해보거나 새로운 구경 또는 음식을 경험해보는 것도 우리를 즐겁게 한다. 같은 돈을 쓰더라도 물건을 사는 것보다 여행과 같은 새 경험을 하는 것이 더 재미있는 행동으로 우리를 더 행복하게 한다.
좋은 대인관계를 위해서 남을 위한 친절, 동정심, 자선, 봉사활동 등을 권한다. 이런 활동은 남을 행복하게 할 뿐 아니라 자신도 행복해진다. 같은 돈을 쓰더라도 자신보다 남을 위해 쓰면 더 오래 행복해진다는 연구 결과이다.
행복은 전염된다. 내가 행복하면 가족, 친구, 주위 사람들 뿐만 아니라 그 여러 사람의 친구, 그들 친구의 친구까지 행복감을 느낀다는 실증분석이 있다. 역으로 불행이나 비관적인 감정도 전파된다. 따라서 내가 긍정적이고 행복한 행동을 하는 것은 주위 사람을 행복하게 해주기 위한 좋은 목적이 된다.
운동하라고 권한다. 운동은 두뇌에 엔도르핀을 생산하여 우리를 즐겁게 하고 목적의식을 높이게 하는 행복 행동이다. 소득과 달리 우리는 남의 건강 상태를 잘 몰라 남의 건강과 비교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우리 건강의 비교기준은 남의 건강 상태가 아니라 자신의 과거 건강 상태가 된다. 운동을 하여 건강(육체적 및 정신적)이 좋아지면 행복도 증가한다. 즉 건강과 행복의 역설은 성립되지 않는다. 가정생활도 남의 것과 비교가 어렵기 때문에 가족관계가 좋아지고 즐거워지면 우리의 행복도 증가한다. 같은 맥락에서 행복과 행복의 역설도 성립되지 않는다. 따라서 행복한 사람도 계속 더 행복해질 수 있다.
항시 감사하라고 한다. 감사함은 좋았던 경험을 상기하며 즐겁게 되고 더 긍정적 감정을 갖게 되며, 부러움과 후회를 적게 한다. 또 감정적으로 성숙하게 되어 우울증과 불안을 줄이게 되어 우리의 행복을 높인다. 감사함은 무엇보다 좋은 대인관계를 갖게 한다. 명상도 권한다. 명상은 우리의 생각과 감정을 통제하고 조정하는 것이라서 마음의 안정을 주고 스트레스를 줄이게 되어 행복수준을 높인다.
어떻게 해서 행복한 사람이 성공하게 될까? 이 질문을 위하여 첫째 성공을 이루는 요소와 단계가 무엇이며, 둘째 어떻게 행복이 이런 성공요소를 개발하는가를 알아야 되겠다. 광범위한 문헌분석과 필자의 경험에 비추어 볼 때, 성공 달성을 위해서는 원대하고 뚜렷한 비전(목표)을 갖고,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정신상태와 자신감을 느끼고,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시대와 환경에 맞는 장기계획을 작성하여 몰입된 노력으로 계획을 실행해야 한다.
행복한 사람은 이런 성공에 필요한 여러 요소를 갖고 있다. 위에 지적한 바와 같이 의미(목적) 있는 행동을 함으로써 행복해지기 때문에 자연 성공에 필요한 목적의식이 높다. 행복은 우리의 느낌으로서 긍정적 감정과 같다. 긍정적 감정은 재미, 적극성, 희망, 고취, 열정, 낙관, 자부심 등을 포함한다. 의도적 행동을 통해 행복해지는 과정에서 행복한 사람은 목적의식이 높을 뿐 아니라, 낙관적이고, 열정과 자신감 등 성공의 필요 요소를 키워간다. 적극적이고 낙관적인 사람은 더 창의적이고 생산성이 높고, 난관에 부딪혀도 재기하는 능력과 패기가 높다. 성공을 위한 행동은 대인관계를 맺으면서 다른 사람과 더불어 한다. 따라서 행복한 사람의 좋은 대인관계와 팀워크 능력은 성공으로 연결된다. 행복한 사람은 주위 사람들을 행복하게 함으로써 그들의 성공에도 기여한다.
행복은 우리가 궁극적으로 바라는 것이고, 성공만 하면 행복해질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여러 연구에 의하면 행복해야 성공할 수 있다. 행복은 있는 것을 찾는 것이 아니고 우리의 행동으로 만들어 나가는 것이다. 재미, 좋은 대인관계, 바람직한 목적 달성을 위한 갖가지의 행동이 우리를 행복하게 한다. 행복은 전염되므로 가족, 친구, 다른 사람들의 행복을 위해서도 행복 행동은 바람직하다. 행복으로 이끄는 다양한 길은 우리의 행복 행동을 기다린다. 행복하세요.
권오율, SFU 경영대 겸임교수
www.koreatimes.net/오피니언
미디어2 (web@koreatime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