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핫뉴스
"한국 갔다가 휴대폰 요금폭탄"
자동로밍 때문…통신사 "관례이므로 돈내라"
- 조욱 기자 (press1@koreatimes.net)
- Mar 12 2023 09:14 AM
한국서 유심칩 사거나 임대해야
가입자 식별용으로 휴대폰에 끼워쓰는 심카드Sim Card. 유심칩(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으로도 불린다.
지난달 한국을 2주간 다녀 온 윤지혜(49)씨는 2월 휴대폰 요금을 보고 입을 다물지 못했다.
요금이 평소보다 3배 가까이 나왔기 때문.
온라인 고지서를 자세히 보니 '롬 라이크 홈Roam Like Home' 명목으로 하루 12달러가 추가로 부과돼 전체요금이 150달러를 넘었다.
작년 초 한국 방문에선 이런 적이 없었다는 윤씨는 "이곳 캐나다 통신사에 문의하니 내가 해외에 나갔기 때문에 자동로밍된 것이라고 말했다. 난 '이 기능을 몰랐다'면서 수정을 요구했으나 통신사는 '사전에 문자 안내를 했다'며 거부했다. 100달러를 일방적으로 빼앗긴 기분"이라면서 분을 삭였다.
본보 취재결과 '레딧reddit' 등 온라인에선 이같은 불만의 소리가 줄을 이었다.
이에 대해 로저스Rogers통신의 한인 담당자 조영(사진 아래)씨는 "캐나다휴대폰을 갖고 국경을 넘으면 자동로밍이 된다. 이는 로저스나 벨 등 모든 통신사가 동일하다"며 "캐나다서 걸려온 전화를 받지 않아도 최고 250달러의 요금이 부과될 수 있다. 자동로밍을 없애려면 해외체류 기간 동안 핸드폰 전원을 종료하거나, 비행기airplane 모드로 설정을 바꿔야 한다"고 답했다.
"교민 중엔 한국통신사 유심칩chip으로 교체해 사용하는 분들도 많다. 인천공항 등에서 한국 유심칩을 사거나 이를 일정기간 빌릴 수도 있다"고 조씨는 설명했다.
조씨에 따르면 나이아가라폭포 등 국경 근처를 여행만 해도 자동로밍 요금이 나올 수 있다. 이 경우 통신사에서 크레딧을 주지만, 통신사와의 소통을 위해 시간을 들여야 한다.
소비자 윤씨는 이같은 설명에 대해 "로밍은 필요한 사람만 사용하는데 외국여행한 모든 고객에게 일률적으로 요금을 받아낸다는 것은 부당하다"면서 "나같이 황당하게 당한 한인 피해자가 한둘이 아닐 것이다. 소비자보호센터 등 관계기관에 이 문제를 강력하게 제기해서 시정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휴대폰 설정창의 에어플래인airplain 모드
www.koreatimes.net/핫뉴스
조욱 기자 (press1@koreatimes.net)
전체 댓글
joe ( jjiiss**@gmail.com )
Mar, 12, 01:43 PM나는 프리덤 ( 윈드 ) 모바일 쓰고 있는 중 이며 , 한국 에서 자동 로밍 전혀 안되고 ,필요 하면 하라고 , 안내 문자가 온다 ,, 안 하고 가만 있으면 그만 이다..
그 쪽 ,, 전화 회사들이 , 고객을 우롱 하고 있다 !!
블루 ( bluedigit**@gmail.com )
Mar, 13, 10:46 AM저는 Bell 과 Freedom 다 사용합니다. Roaming 사용에 있어 추가 요금을 낸다는 건 업체에서 처음부터 공지를하고 해외에 나가면 또 자동으로 메시지가 옵니다. 문제는 로밍의 종류가 있다는 겁니다. Bell 의 경우는 Data 를 사용하지 않으면 즉 Cellular Data mode 를 off 시키면 로밍이 된 상태에서도 추가 요금을 내지 않습니다. 메시지를 쓰거나 data 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비용이 나가지 않습니다. 들어오는 메시지는 미국이나 한국에서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Freedom Mobile 의 경우는 단순 Roaming 을 Enable 한 경우에도 추가 요금을 냅니다. Data 나 메시지를 사용 안해도 요금을 냅니다. 저는 Belll 을 사용해 왔기 때문에 Freedom를 추가한 후 이부분을 간과해서 요금을 낸 적이 있습니다. 그래서 해외에 나갈때 Freedom 유심을 빼거나 웹사이트에서 Disable 하고 지역 유심을 넣고 사용합니다. 기사에서 로밍에 대한 내용을 전혀 몰랐다는 사용자의 말은 자신이 무지하거나 추가 요금에 대한 메시지가 오는데도 무시해 버린 자신의 잘못도 있습니다. 그러나 컴퓨터나 전자기기에 대해 잘 모르는 노인 분들에겐 주위에서 사전 세팅을 해주거나 숙지를 해 줄 필요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