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주간한국
디지털 보안의 중요성
시니어를 위한 디지털 가이드 북 Digital Guidebook for Seniors
- 미디어1 (media@koreatimes.net)
- May 02 2023 01:33 PM
디지털 결제 <1>
지금까지 뱅킹, 쇼핑, 음식 배달, 차량 이용 등 디지털 기기를 통해 거래하고 결제하는 서비스들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였습니다. 이 모두의 공통점은 돈과 관련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그렇기에 조심스럽지 않을 수 없습니다. 실제 많은 시니어들이 온라인 쇼핑과 뱅킹을 기피하는 이유로 안전의 이유를 듭니다. 내 계좌 정보를 스마트폰에 담았다가 폰을 잃어버린다면? 온라인 쇼핑 시 결제를 위해 내 신용카드 정보를 넘겨줘야 하는데 중간에 해킹 등으로 유출이 된다면? 사용 미숙으로 엉뚱한 곳에 송금을 하든지, 결제를 잘못하여 손해를 본다면? 이런 염려와 의심으로 편리한 줄 알면서도 선뜻 나서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당연한 걱정입니다. 나름 안전책을 강구한다고 하지만 세상에 완벽한 것은 없기에 실제 그런 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끔 언론에 나오는 해킹이나 유출 사고 소식을 접하면 더 염려가 되겠죠. 하지만 디지털 세상으로 바뀐 세상에서 마냥 회피만 할 수도 없습니다. 그렇기에 조금 더 배우고 듣고 경험하며 판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보안의 이슈가 늘 있긴 하지만 그럴수록 대비책도 세우고 보상에 대한 시스템도 마련되어 안전한 부분도 있습니다.
다음으로 몇 가지 디지털 보안에 대한 팀을 드리겠습니다. 막연한 두려움 보다는 하나하나 배워가며 판단해 보기를 권합니다.
안전한 디지털 생활을 위한 팁
1. 공용 Wi-Fi 연결 주의: 집 외의 공간에서 Wi-Fi 연결을 합니다. 커피숍이나 도서관 등. 기술적 특성으로 인해 나쁜 의도를 가진 *해커의 공격 대상이 되기 쉽습니다. 일반적인 인터넷 연결을 하고 유튜브를 하는 것은 그래도 괜찮겠으나 ID 입력을 하는 작업은 피하고, 특별히 뱅킹을 하든지 신용카드 정보를 입력하든지 하는 일은 공용 와이파이 대신 본인의 모바일 데이터로 하시는 것을 권합니다. 아니면 조금 기다렸다 집에 들어가 자가 Wi-Fi로 하시고요.
2. 이메일 주의: 알 수 없는 발신자가 보낸 메일 중 링크가 있으면 함부로 클릭하지 마십시오. 출처가 확실치 않은 첨부 파일도 열어보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때로는 지인으로부터 온 이메일인데 뭔가 평소와 내용이 다르거나 이상한 요구가 있을 때에도 조심하셔야 합니다. 연락처를 해킹하여 보낸 것일 수도 있습니다.
3. 문자 메시지 주의: 모르는 사람에게 오는 문자 중 특별히 *url 주소가 포함되어 있거나 다운로드가 필요하다는 내용 등이 있으면 일단은 경계하시고 바로 링크를 누르거나 다운로드 받지 마십시오. SNS 상에서도 낯선 이의 친구 요청이나 다이렉트 메시지 등에 쉽게 응답하지 않는 것도 필요합니다. 요즘 피싱 문자와 메시지가 많습니다.
4. 비밀번호 관리: 가입한 곳도 많고 해서 서비스별 아이디와 패스워드 관리가 만만치 않습니다. 그래서 어떤 분들은 동일한 ID와 패스워드로 모든 서비스에 사용하는 경우도 많지요. 좋은 아이디어가 아닙니다. 번거로우시더라도 비밀번호를 달리 하시고 꼭 개인 메모장에 적어 놓으셔서 관리하세요.
5. 뱅킹 내역 수시 조회: 모바일 뱅킹 이용자는 자주 계정 조회를 하세요. 비용이 드는 것이 아니니까요. 정기적으로 확인하다 보면 해킹 여부를 알 수 있고 혹여 잘못되어도 손해를 줄일 수 있으니 습관화가 좋습니다.
www.koreatimes.net/주간한국
미디어1 (media@koreatime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