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주간한국
EV 보급에도 전기 공급 너끈
토론토생태희망연대 칼럼
- 미디어1 (media@koreatimes.net)
- Jun 19 2023 10:06 AM
전기 자동차와 환경 <2>
(지난주에 이어)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가 탄소배출이 적다는 것은 허구인가? 생산 과정에서 더 많은 탄소를 배출하기도 한다는데… 이런 질문들이 환경 문제로 EV를 사려는 사람들에게 떠오른다. 토론토의 환경보호 단체인 Environmental Defence 의 나다니엘 월리스는 최근 이와 관련된 문제에 대한 설명을 블로그와 페이스북에 자세히 소개했다. 그 내용을 3번에 걸쳐 요약 정리해 본다. (편집자 주)
전력의 생산지와 소비지, 시간대 등을 효율적으로 배분하는 스마트그리드 시스템을 갖추면 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상당부분 극복할 수 있다. 한국 스마트그리드사업단 제공
문: 현재 전력 생산양으로 모든 전기차를 감당할 수 있는가?
답: EV가 전력 수급에 미치는 영향은 과장된 경우가 많다. 이미 도로 주행 차량의 20%가 전기차인 노르웨이의 경우에도 전체 전력 수요에 미치는 영향은 1.5% 미만이라는 조사 결과가 있다. 그 이유는 전기 자동차 충전의 80%가 가정에서 이루어지며 전력 수요가 많지 않은 야간에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캐나다에서는 2030년까지 EV로 인한 전력 수요가 현재보다 3.4% 증가할 것이라는 연구가 발표되었다. 이 수치는 2030년에서 2050년 사이에 최대 22.6%까지 크게 증가하게 되지만 이에 대응할 충분한 시간은 있다. 현재 전력회사도 용량을 늘리기 위해서는 확실한 미래 예측이 되어야 하는데 정부에서 내연기관 자동차 판매 규제를 강력하게 시행한다면 전력회사는 위험부담 없이 필요한 양만큼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
문: 모든 전기차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소가 충분한가?
답: EV를 구매할 때 충전 시설에 대한 의문은 여전히 남는다. 최근 연방의 천연자원부(NRCan)의 연구에 따르면 2025년까지 충전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이미 충전소 설치 계획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다만 2030년까지 충전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노력이 필요다.
연방 정부는ZEVIP(Zero Emission Vehicle Infrastructure Program)와 같이 이미 존재하는 충전 인프라 프로그램을 구축하고, 전국 고속도로 시스템을 따라 급속 충전소를 추가 설치하며, 캐나다 인프라 은행을 통해 충전시설에 대한 민간 투자의 위험을 감소하고 분산시키는 등의 계획이 진행 중이다. 또한 연방 정부는 주정부 등과 협력하여 건축법상 신축 다세대 주택에 전기차 충전 인프라를 설치하도록 의무화 해야 한다.
예를 들어 밴쿠버시는 전기차 충전기를 설치하지 않은 주유소 및 주차장 운영자에게 1만 달러의 벌금을 부과하려 하고 있다. 사람들이 일하고 쇼핑하는 주차 공간에서 전기차 충전을 의무화하는 것은 다음 단계이지만, 이미 많은 기업이 전기차 충전을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로 보고 있다. 월마트는 2030년까지 자체적으로 대규모 EV 충전 네트워크를 구축할 계획으로 알려져 있다.
전기 자동차 충전소 CP 제공
문: 전기차가 훨씬 더 비싼 게 EV 확대의 장애물이 아닌가?
답: 비용과 관련하여 좋은 소식은 휘발유 요금 절감을 고려하면 EV가 이미 가솔린 구동 차량보다 사실상 저렴하다. 다만 자동차 회사들은 쉐보레 볼트와 같은 보다 저렴한 모델의 생산을 줄이거나 중단하고 대신 고급 EV 모델에 집중하고 있다. 한편, 볼보가 일부 지분을 갖고 있는 BYD와 같은 중국의 자동차 제조업체는 이미 14,000캐나다 달러에 ZEV를 시장에 출시하고 있다. EV는 원가 면에서 이미 매우 낮아 졌지만 기존의 대형 가솔린 자동차 회사들은 수익성이 더 높은 가솔린 차량을 판매하려고 전기차에 큰 투자를 하지 않고 있다. 실제로 신차 판매 10대 중 8대가 픽업트럭일 정도로 캐나다 시장에 대형 차가 넘쳐나 캐나다는 세계 최악의 도로 주행 차량 배기가스 배출국이라는 불명예를 안고 있다.
더 심각한 문제는 정부가 더 큰 구매 인센티브를 제공하려 하면 자동차 회사들은 판매가격을 인상하여 이윤을 챙긴다는데 있다. 따라서 2035까지 100% 무공해 ZEV만 판매 가능하도록 규제하고 로드맵을 제시해 경쟁을 유도하면 평균 20%정도 가격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계속]
www.koreatimes.net/주간한국
미디어1 (media@koreatime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