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핫뉴스
10월이면 무너지는 ‘가슴’
32명 이름마다 ‘눈물’
- 미디어1 (media@koreatimes.net)
- Oct 23 2024 10:30 AM
성수대교 참사 30주기 합동위령제 선배들 이름 하나하나 호명하며 무학여고 학생회장 추모사 낭독 유족 등 40여명 참석, 헌화 진행
“10월만 되면 그때 생각이 나 불안하고 그래요.”
21일 오전 서울 성동구 성수대교 북단 교차로 인근에 마련된 ‘성수대교 참사 희생자 위령탑’. 30년 전인 1994년 이날, 멀쩡하던 다리가 하루아침에 무너지는 사고로 형을 떠나보낸 김학윤 유가족 전 회장이 합동위령제 30주기를 마치고 한숨을 쉬었다. 이날 위령제에는 유가족, 정원오 성동구청장, 성동구의회의원, 무학여고 학생 및 교사 등 40여 명이 참석했다.
성수대교 붕괴 사고 희생자 유가족이 21일 열린 30주기 합동 위령제에 참석해 서울 성동구 성수대교 북단의 위령탑에 분향하고 있다. 정다빈 기자
김민윤(17) 무학여고 학생회장은 이해인 수녀의 ‘가신 이에게’ 시를 낭독하며 사고로 세상을 떠난 학교 선배들의 이름을 하나하나 호명했다. 일부 유족들은 눈물을 훔쳤다. 김학윤 전 회장은 추모사를 통해 “지난 30년 동안 형제자매와 부모를 가슴에 묻으며 눈물로 세월을 보내야만 했다”고 전했다.
참석자들은 성수대교 사고 같은 사회적 참사가 다시 일어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정 구청장은 “유족분들의 마음을 위로하는 길은 사고 없는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 것”이라며 “더 안전한 사회를 위한 노력이 결실 맺는 그날까지 저희도 함께 가겠다”고 약속했다. 성동구는 2014년부터 매년 유가족과 협의해 위령제를 지원해오고 있다.
위령탑 이전을 촉구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위령탑이 설치된 터는 자동차 전용도로인 강변북로 사이 외딴곳에 위치해 대중교통이나 도보로는 접근하기가 어렵다.
위령제가 종료되고도 유족들은 쉽게 자리를 뜨지 못했다. 참사로 당시 무학여고에 재학 중이던 딸을 보낸 어머니 염모씨는 “30년 동안 매년 위령제에 오는데 항상 복잡한 마음일 뿐이다”라며 눈시울을 붉혔다. 사고로 부친을 잃은 최진영(57)씨는 “사고 당시 제 아내가 아들을 임신 중이었는데, 그해 태어난 아들이 어제 결혼을 했다”며 “돌아가신 아버지가 손주 한번 보고 갔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에 올해 더욱 아버지가 보고 싶다”고 말끝을 흐렸다.
성수대교 붕괴 사고는 30년 전인 1994년 10월 21일 오전 성수대교 상부가 무너지며 일어났다. 당시 등교 중이던 무학여고 학생 8명 포함 시민 32명이 사망하고 17명이 다쳤다.
오세운 기자
www.koreatimes.net/핫뉴스
미디어1 (media@koreatime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