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국제
'전쟁 대비' 시작한 유럽
"72시간 비상물자 비축하라"
- 캐나다 한국일보 편집팀 (public@koreatimes.net)
- Mar 27 2025 03:53 PM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가 회원국들에 "각국의 국민들이 위협에 대비해 최소 72시간 자급자족할 수 있도록 준비하라"고 권고했다.
학교 교육과정에도 위기 대응 훈련 과정을 추가하기로 했다. 이유로는 "지정학적 긴장과 갈등 증가"와 "하이브리드 및 사이버 보안 위협"을 꼽았는데, 사실상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로 이어질 러시아의 위협에 대비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하자 라비브 유럽연합(EU) 대비·위기관리·평등 담당 집행위원이 26일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집행위원 회의에서 'EU 대비연합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사진
영국 가디언 등에 따르면 EU 집행위원회는 26일 'EU 대비연합전략'을 발표했다. 새로운 전략에는 위기 상황에서도 병원, 학교 등 필수 사회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기 위한 최소한의 기준을 마련하는 내용이 담겼다.
EU는 '위기 허브'를 마련하는 등 위기상황 발생 시 국가 간 공조도 강화하기로 했다.
특히 이번 전략에서 EU는 비상상황에 대비해 최소 72시간 동안 자급자족할 수 있도록 준비하라는 권고를 내렸다. 구체적으로는 가정 내 비상 행동계획을 수립하고, 필수품을 비축하라고 요청했다. 이날 하자 라비브 EU 대비·위기관리·평등 담당 집행위원은 엑스(X)에 자신이 직접 신분증, 식수, 통조림 등이 든 비상 가방을 만드는 영상을 올리기도 했다.
EU는 이날 전략의 목적이 단순 재해뿐 아니라 사이버 공격, 가짜뉴스, 기반시설에 대한 파괴공작 등 복합적(하이브리드) 위협이나 군사 분쟁 등 지정학적 위협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가짜뉴스·정보조작 대처법을 포함한 '위기 대응' 관련 내용을 학생들의 교육과정에 포함하라는 요구도 담겼다. 최근 유럽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를 대비해 군사비 지출을 늘리는 등 안보 강화에 노력해왔는데, 이번 전략도 사실상 러시아의 군사적 위협으로부터 대비하기 위해 만들어진 셈이다.
이번 EU의 대책 마련은 최근 비상 대비체계를 점검하는 등 준비를 이어나가고 있는 독일과 북유럽 국가들에게 영향을 받은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가디언은 "독일과 북유럽 국가들이 (전쟁) 대비 움직임에 앞장서고 있다"며 "스웨덴은 지난해 11월 비상사태 대비 매뉴얼을 제작해 배포했다"고 전했다. EU 발표 하루 전인 지난 25일에는 덴마크가 오는 7월부터 여성징병제를 실시하겠다는 방침을 발표했다
www.koreatimes.net/국제
캐나다 한국일보 편집팀 (public@koreatime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