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핫뉴스
"공급 과잉 싸구려 중국산 관세 부과 논의"
G7 재무장관 회의...앨버타주 밴프서
- 캐나다 한국일보 편집팀 (public@koreatimes.net)
- May 21 2025 12:26 PM
주요 7개국(G7캐나다·미국·독일·영국·일본·이탈리아·프랑스)이 중국산 저가 상품의 '공급 과잉' 문제를 논의한다.
프랑수아-필립 샹파뉴 캐나다 연방재무장관은 앨버타주의 휴양도시 밴프에서 20일부터 22일까지 열리는 G7 재무장관 회의 개막 기자회견에서 G7 국가들이 공급 과잉을 보이는 중국산 저가 제품에 관세를 부과하는 문제에 대해 논의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20일 앨버타주 밴프에서 개막한 G7 재무장관 회의에 참석한 프랑수아-필립 샹파뉴(왼쪽) 캐나다 재무장관과 세르게이 마르첸코 우크라이나 재무장관. 우크라이나는 G7 비회원국이지만 이번 회의에 초청됐다. CP통신 사진
샹파뉴 장관은 이 의제에는 각국이 어떻게 협력하고 과잉 생산이나 비시장적 관행과 같은 문제에 대응할지에 대한 논의가 포함될 것이라면서 중국발 공급 과잉을 억제하기 위한 추가 조치를 시사했다.
일부 서방 선진국은 중국의 전자상거래 플랫폼 테무나 쉬인 등이 자국 시장에 저가 상품을 범람시킨다고 비난해 왔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달 중국발 800달러 미만 소포에 대해 관세를 면제해주는 '소액 면세 제도(de minimis)'를 폐지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전까지는 중국의 저가 상품이 무관세로 미국에 대량 수출됐다.
블룸버그 분석에 따르면 미국은 중국산 저가 상품의 최대 소비국이다. 지난해의 경우 중국의 저가 상품 수출액 940억 달러 중 약 4분의 1이 미국 시장으로 들어갔다.
지난달에는 면세 폐지를 앞두고 수출입이 크게 늘면서 저가 상품 유입액이 전년 동월 대비 30% 급증했다.
일부 국가에서는 중국 수출업체들이 미국으로 보내려던 상품을 다른 나라로 보내 해당국의 생산자와 소매업체를 압박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유럽연합(EU)은 역내로 들어오는 '저가 소포'에 대한 수수료 부과를 준비 중이며 프랑스와 영국, 일본도 비슷한 조치를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G7 국가들은 또 이번 재무장관 회의에서 러시아산 석유에 대해 경제 제재 차원에서 적용해온 가격 상한선을 하향 조정하는 문제도 다룰 것으로 보인다.
한편 다음달 15일부터 17일까지 앨버타주 카나나스키스에선 G7 정상회의가 개최된다.
www.koreatimes.net/핫뉴스
캐나다 한국일보 편집팀 (public@koreatime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