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W OPEN
KFT WHOLESALE CASH & CARRY
OPEN TO THE PUBLIC
KCC FREE MEMBERSHIP 이랍니다.
(2월28일까지만!)
그런데요! 이 창고형도매 겸 소매 점포 경주는
작명이론에 좀 어두운 것 같습니다.
KFT WHOLESALE CASH & CARRY 와
KCC 는 마치 별개의 업체인 거 같이 느껴지지 않습니까?
KCC는 어디서 튀어나온 걸까요? 무슨 단어들의 약자일까요?
답) 상호 KFT WHOLESALE CASH & CARRY 에서
KWCC? 거기서 W 를 빼면 KCC?
그런데 바쁘게 살면서 언제 그렇게 추리를 하고
기억합니까? WHY KCC? Why not KFT?
아무튼! 업체이름은 간단명료해야 합니다.
자기네 업체를 설명한답시고 길게 늘어놓아보았자 그걸 다 기억하는 사람이 별로 없는 법이랍니다.
작명 실패작의 견본!
KFT WHOLESALE CASH & CARRY.
(요즘 Cash 내고 쇼핑하는 사람 보았나요? 장 보고나서 Carry 안 하고 배달시키는 가요?)
(김치맨의 제안)
그냥 KFT 또는 KCC
하나로 정하고! 주구장창 KFT 노래 부르며
광고선전 해대면....그 업체 대박나게 돼 있어요!
아시겠어요? KFT 씨?
추신) 28일 까지 서둘러 공짜 멤버쉽 가입해두세요.
http://www.kftcnc.ca/#
김치맨 9058700147
전체 댓글
캐나다뉴서울by김치맨 ( canadanewseo**@gmail.com )
Feb, 24, 07:11 PM또 기어이 시비를 걸자하면!
요즘에 OPEN TO PUBLIC 안 하는 판매점도 있나요?
그리고 도매상(Wholesale)에서 판매하는 가격은 도매가격인가요?
아님, 소매가격에 도매하는겁니까?
Are they wholesale at the retail price?
Or the other way around?
캐나다뉴서울by김치맨 ( canadanewseo**@gmail.com )
Feb, 25, 11:11 AMWHOLESALE CASH & CARRY 는 구세기 유물!
Cash & Carry 와 Open to Public 이란 표현들은 이제는 한물간 구시대 어휘들입니다.
예전에는, 60년대까지만해도 소매업체들은 도매 및 공급업체들에게 주문을 하고 배달 받고,
페이는 2주 이상 텀(Term) 외상거래를 했습니다.
그런데 어느 머리좋은 사업가가 대형 창고형매장에 각종 상품들을 가득 쌓아놓구서!
"자! 소매상 여러분! 오세요! 현찰박치기로 상품들 사가지구 직접 싣고 가세요!"
"Pay Cash now and Carry yourself! 우리는 외상 절대로 안주고 또 배달 안해드립니다." 라고 광고선전 했답니다.
그래서 대박!
그런데! 그 도매상들은 소매상 영업허가증(Vendor Permit) 소지자들에게만 상품을 도매가격으로 판매했습니다.
일반인 고객/소비자(General Public) 들은 그 도매상을 이용할 수 없게 돼 있었지요.
그 후 90년대 중반 월마트(Walmart)가 캐나다에 진출한 이후, 약삭바른 소매상인들은 월마트 및
저가판매 수퍼마켓(No Frills & Food Basics) 들에서 도맷장을 보게되었지요. 특히 스페셜 세일 할 적엔....
자! 이제는 도매상들의 쇠퇴기에 접어들게 됐습니다.
성업중이던 도매상들이 간판 내리고 폐업하기 시작했습니다.
우리가 이대로 앉아 당할 수만은 없다! 우리도 살길을 찾자!
이래서 나온 결론이 "우리가 도매만 할 게 아니라! 도소매 겸용 업체가 되자! Open to general public! 줄여서 OPEN TO PUBLIC 하자!"
이런 도소매업의 변천과정을 조금은 아는 김치맨이기에
KTF WHOLESALE CASH & CARRY 라는 간판 내건 도소매 겸용업체의 상호에 한마디 한 것입니다.
시대에 뒤 떨어진 상호 내걸었다구!
-상호 작명에 일가견 있다 자부하는 김치맨
*상담(무료) 환영 9058700147
캐나다뉴서울by김치맨 ( canadanewseo**@gmail.com )
Feb, 25, 11:39 AM그런데요! 도매상(Wholesale)에서 Open to Public 해서 도맷장 보러온 소매상에게나 일반 소비자이거나 같은 판매가격으로 판매하면?
그 가격은 도매가격(Wholesale Price)일까요? 소매판매가격(Retail Price) 일까요?
도매가격에 소매한다는 그 도매상은 소매가격에 팔면서 도매한다는 비판 받게 되면 어떡하지요?
편의점하는 김치맨이가 그 KFT Wholesale 에서 장 보러온 우리 가게 단골고객을 마주치게 되면 어떡하지요?
그 도매상에서 1불에 파는 걸 우리는 $1.32 받고 있으니!
(이는 편의점에서 1불 구입원가 상품을 1불 32센트에 소매해야 판매금액의 25% 마진을 보게 된다는 뜻)
쫑이 ( 0127jo**@hanmail.net )
Feb, 25, 01:46 PM홀세일에서 소매상이나 소비자 에게 동일한 가격이면 도매상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어떤품목은 한국식품점 보다 도매상 가격이 더 비싼것도 있더라고요
어떤 도매상은 홀세일이라는 이름을 별로 신뢰 하지 않은지 오래됐습니다
라피 ( canada4**@hanmail.net )
Feb, 25, 08:13 PM그러면 앞으로 소형 소매점들도 쇠퇴기에 접어 들지 않을까요?
캐나다뉴서울by김치맨 ( canadanewseo**@gmail.com )
Mar, 01, 06:21 PM라피님! 전통적인 소매점(Retail Store)들은 그 크기에 관계없이 이미 진작부터 쇠퇴기에 접어 들었지 않았을까요?
보세요! 인터넷 쇼핑과 배달제도의 일반화로 쇼핑센터나 도로변 상가건물의 소매상들이 문을 닫아가고 있습니다. 특히 우리 한인동포들이 많이 경영하던 편의점(Variety store/Convenience Store)들은 지난 몇년 동안에 수백개(?)가 소리 소문없이 폐업했다 여겨집니다. 편의점 경영주들의 단체인 온주실협은 2019년 4월, 990명 회원이었는데! 2021년 10월에는 780명! 2년반 동안에 210개 가게가 폐업 또는 타민족에게 매각됐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라피 ( canada4**@hanmail.net )
Mar, 04, 09:22 AM그런거 같네요 오케비에이 맴버가 최고많을때는 2000명 넘은기억이 나는데 거의 3분의1정도만 남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