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문화·스포츠
미국 간 ‘조선 병풍’
우리 기술로 되살려 첫 공개
- 미디어1 (media@koreatimes.net)
- Jun 23 2025 01:00 PM
구운몽도 병풍·백동자도 병풍 2점 국립고궁박물관 내일부터 특별전
미국의 미술관이 소장한 조선 병풍 두 점이 국내에서 복원돼 처음으로 공개된다.
국립고궁박물관은 구운몽도(九雲夢圖) 병풍과 백동자도(百童子圖) 병풍 등 2점을 25일부터 열리는 특별전 '다시 살려낸 그림 속 희망'에서 공개한다고 23일 밝혔다. 두 병풍은 국외소재문화유산재단이 2023년 10월 국내로 들여와 1년여 보존 처리를 거쳐 원형에 가깝게 복원했다.
구운몽도 병풍. 국가유산청 제공
구운몽도 병풍은 미국 포틀랜드 미술관이 보유한 유산으로, 조선시대 문인 김만중(1637∼1692)이 쓴 소설 '구운몽'의 주요 장면을 10폭 병풍에 담은 작품이다. 육관대사의 제자 성진이 팔선녀를 만나 미혹된 죄로 양소유로 환생해 여덟 여인과 인연을 맺는 부귀영화를 누리는 모습이 묘사됐다. 인생이 무상하다는 소설의 교훈 외에도 부귀나 복을 비는 의미가 담겼으리라 추정된다.
병풍은 1910년 이화학당 선교사인 마리 엘리자베스 처치가 한 학생의 부모로부터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으로 돌아간 그가 친구에게 선물했고, 친구의 자녀가 포틀랜드미술관에 기증했다. 국가유산청은 소설의 내용과 다르게 배치된 그림을 바로잡고 가려져 있던 그림 일부가 드러나도록 병풍의 폭을 늘렸다. 박물관 관계자는 "국내외에서 확인된 구운몽도 40여 점 가운데 가장 정교하고 높은 수준의 필치를 보이는 작품으로 평가받는다"고 설명했다.
백동자도 병풍. 국가유산청 제공
미국 덴버미술관이 소유한 백동자도 병풍은 아이가 신나게 놀고 있는 장면을 포착한 작품이다. 닭싸움, 관리 행차, 원숭이 놀이, 매화 따기 등을 그려 풍요와 번영, 자손 번성, 관직 등용 등을 기원한다. 백동자도는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길상화로, 왕실의 혼례와 궁중 연향에 두루 사용된 데다 중국 고전에 나오는 머리 모양이나 복식을 갖춘 경우도 발견돼 문화사적 가치가 높다. 박물관 측은 병풍의 오염을 제거하고, 본래 칠했던 천연 안료가 아닌 인공 안료로 덧칠된 부분을 떼어내 옛 모습을 되살렸다.
덴버미술관은 1970년 미국 뉴욕에 있는 아시아 고미술 갤러리를 통해 이 병풍을 입수했으나 미국으로 들어온 자세한 경위는 밝혀지지 않았다. 박물관 관계자는 "병풍 틀을 보존 처리하는 과정에서 1960년 발행된 일본 매일신문 종이가 발견돼, 19세기에 제작돼 1960년대 수리한 뒤 반출됐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전시는 다음 달 20일까지 진행된다.
손효숙 기자
www.koreatimes.net/문화·스포츠
미디어1 (media@koreatimes.net)